국내 정유4사, 3분기 영업익 ‘4조원’ 잭팟…3개월 만에 ‘급증’

국내 정유4사, 3분기 영업익 ‘4조원’ 잭팟…3개월 만에 ‘급증’

  • 기자명 김강석 기자
  • 입력 2023.11.11 10:41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김강석 기자] 국내 정유사들이 올해 3분기 정제마진 상승 영향으로 4조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내며 직전분기 영업손실을 딛고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HD현대오일뱅크·GS칼텍스·에쓰오일(S-OIL) 등 국내 정유 4사는 올해 3분기 총 4조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들 4개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을 모두 합치면 3조9464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4066억원) 대비 64% 증가했다. 지난 2분기에 총 53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영업이익이 4조원가량 불었다.

업체별로 보면 직전분기 -1068억원의 적자를 봤던 SK이노베이션은 3분기 1조5631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같은 기간 HD현대오일뱅크의 영업이익은 361억원에서 3191억원으로, 에쓰오일의 영업이익은 364억원에서 8589억원으로 각각 상승했다. GS칼텍스도 영업이익이 –192억원 적자에서 1조2503억원으로 급증했다.

석유사업 부문만 떼어놓고 봐도 정유사들의 영업이익은 크게 개선됐다. 지난 2분기까지 SK이노베이션, 에쓰오일, GS칼텍스, HD현대오일뱅크는 석유 부문에서 각각 -4112억원, -2921억원, -2348억원, -965억원의 큰 적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고유가에 정제마진이 대폭 개선되면서 3분기 석유사업 부문에서만 각각 1조1125억원, 6662억원, 9562억원, 2620억원으로 대규모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정유사업 반등의 이유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한 산유국 연합체 ‘OPEC+’(오펙플러스)가 하반기(7~12월) 감산을 통해 국제유가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 연장으로 두바이유 가격은 6월 평균 배럴당 74.6달러에서 9월 평균 배럴당 90.2달러까지 상승했다. 국제유가가 오르면 미리 사둔 원유의 재고평가 가치가 상승해 정유사로서는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정유사들의 핵심적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도 상승세를 거듭했다. 정제마진은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료비, 생산비 등을 뺀 수치다. 통상 정유업계에서는 배럴당 4~5달러를 정제마진의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정제마진은 올해 2분기(4~6월)에는 2~5달러 수준으로 손익분기점을 밑돌았다. 하지만 7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해 3분기 평균 9.5달러 수준을 보였다.

업계는 4분기에도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겨울에 돌입하면서 난방유 수요가 증가하는 등 정유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예상이다. 국제 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있지만, 공급이 부족한 상황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오펙플러스가 감산을 이어가면서 국제유가가 고공 행진을 지속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타이트한 공급으로 높은 수준이 유지될 전망”이라며 “정제마진도 낮은 재고 속 겨울철 등·경유 수요 및 항공유 호조세로 상방 압력이 재차 확대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정치권에선 고금리, 고유가 상황에서 반사이익을 누리는 금융, 정유 등 일부 업종의 기업에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하는 이른바 ‘한국형 횡재세’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와 민주연구원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최근 고유가·고금리 상황에서 막대한 이익을 낸 정유업계, 은행권 등에 횡재세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횡재세는 특정 업종이 아무런 노력 없이 과도한 불로소득을 누린 것을 사회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라며 “정유사나 은행권 등 일부 업종은 역대급 실적을 누린 반면, 민생경제는 사상 최악의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횡재세 도입에 다양한 의견이 존재할 수 있지만, 위기 상황에 한시적으로 고통 분담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데는 이미 범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라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김강석 기자 kim_ks0227@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