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 회복세 가운데 30·40대 감소 뚜렷...인구 감소 영향

고용시장 회복세 가운데 30·40대 감소 뚜렷...인구 감소 영향

  • 기자명 임준
  • 입력 2022.02.21 14:07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 = 임준 기자] 코로나19로 위축됐던 고용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산업의 주축이라 할 수 있는 30·40대의 감소가 눈에 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급격한 인구 감소가 주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1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30대 취업자 수는 525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10만7000명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 첫해인 2020년에 16만5000명 급감한 후 또다시 10만명대 감소를 기록한 것이다.

40대 취업자 수는 631만1000명으로 3만5000명 감소했다.

역시 2020년 15만8000명 급감 이후 다시 한번 줄었다.

성인 연령대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한 구간은 30대와 40대뿐이다.

전체 취업자로 보면 1년 전보다 36만9000명 늘었다.

고용 통계에서 전통적으로 중시하는 개념은 취업자 수 증감이다. 1년 전이나 전달의 취업자 수와 현재 취업자 수를 비교해 고용 상황이 개선됐다 혹은 악화됐다 평가하는 것이다.

일례로 통계청의 지난해 고용동향을 보면 취업자 수는 2727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6만9000명 늘었다.

이것을 보고 전년보다 일자리가 36만9000개 늘 만큼 고용상황이 호전됐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다만 이는 지난해와 올해 인구가 비슷하다는 가정하에 성립하는 지표다.

특정 연령대에서 인구가 늘거나 줄어드는 속도가 빠르다면 취업자 수 증감 지표만으로 고용 상황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통계청은 한국의 인구가 2020년에 이미 정점을 찍었다고 보고 있다.

이 가운데 특정 연령대를 중심으로 인구 감소가 이미 매우 빠른 속도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통계청은 지난해 30대 인구가 전년 대비 14만4000명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 이전 3년(2017∼2019년)의 고용률 평균인 75.7%를 적용하면 정상적인 상황이었다면 취업자였을 30대 인구 10만9000명이 사라진 것으로 정부는 분석한다.

즉 30대 취업자가 10만7000명 줄었지만 인구 감소에 따른 30대 취업자 감소분 10만9000명을 빼고 나면 실질 취업자는 2000명 늘었다고 보는 것이다.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지난해 40대 취업자 인구 감소분은 5만5000명이다.

40대 인구 감소 7만명에 3년 평균 고용률 78.9%를 적용한 수치다.

공식 고용 통계상 지난해 40대 취업자는 3만5천명 줄었지만, 인구 감소분을 반영하면 실질 취업자는 2만명 늘어났던 것이다.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는 60대 이상에선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60대 이상에서 33만명 늘었지만, 이 연령대 인구 증가분(65만3000명)에서 3년 평균 고용률 40.5%를 적용한 26만4000명을 제하고 나면 실질 취업자 증가 폭은 6만6000명으로 줄어든다.

즉 취업자 수에 인구 증감 요소를 고려하면 지난해에 30·40대는 취업자가 늘었던 것이다.

60대 이상의 경우 취업자 수 증가가 상당폭 줄어들게 된다.

다만 30·40대보다 고령층을 중심으로 고용 증가가 더 많이 일어난 큰 그림은 변함이 없지만, 연령대별 격차는 상당 부분 완화된다.

이는 취업자 수 증가로 따지는 고용률도 인구 감소 등의 고용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로 분석됐다.

[자료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 / 임준 기자 uldaga@thepublic.kr 

더퍼블릭 / 임준 uldaga@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