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갑질에 폐점 후 공장 전전”…네이처리퍼블릭, ‘착한임대료’ 유용해 점주 갑질 의혹

“본사 갑질에 폐점 후 공장 전전”…네이처리퍼블릭, ‘착한임대료’ 유용해 점주 갑질 의혹

  • 기자명 최태우
  • 입력 2022.04.08 15:07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대료 50% 할인 받은 네이처리퍼블릭, 소상공인에 임대료 70% 전가?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네이처리퍼블릭이 지하철 역사에 위치한 가맹점주들을 상대로 임대료 갑질을 했다는 제보가 들어와 논란이 일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서울교통공사 측에서 임대료 감면 정책을 시행 중인데, 이를 유용해 소상공인에게 대부분의 임대료를 떠넘겼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점주들이 서울교통공사 측에 항의하면서 사측은 점주들에게 ‘지급확인서’를 받아 공사 측에 제출하게 됐다고 한다.

문제는 사측이 일부 점주들의 ‘지급확인서’에 대해 별도의 문서로 대체하거나, 부당 인상한 임대료의 일부를 보상해줄 것을 약속하고 지급 확인서를 받아 제출한 뒤 이를 파기했다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올 초에는 사측의 저가 마케팅 정책으로 가맹점주들의 민원이 빗발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일부 가맹점들이 폐점했지만, 가맹계약 당시 지불했던 보증금도 돌려받지 못했다는 등 점주들의 곡소리가 나오는 실정이다.

이에 <본지>는 네이처리퍼블릭의 임대료 갑질 의혹과 전반적인 영업 실태에 대해 짚어봤다.



임대료 50% 할인 받은 네이처리퍼블릭, 소상공인에 임대료 70% 전가?


[더퍼블릭 = 최태우 기자] 네이처리퍼블릭의 가맹점을 다수 운영해왔던 점주 A씨는 임대료 감면 혜택을 두고 본사와 갈등을 빚다가 불이익을 받는 등 갑질을 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A씨는 서울지하철 2호선 선릉·사당·강남역 점에서 매장을 운영했지만 네이처리퍼블릭의 터무니 없는 정책변경으로 결국 돈을 모두 잃고, 폐점하게 됐다고 한다.

A씨가 운영했던 3개 매장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월 3000만원 수준의 임대료를 지원받아 차액인 3000만원의 임대료만 납부하면 되지만, 차액에 대해 본사가 지원해줘야 하는 의무가 있음에도 대부분의 임대료를 떠넘겼다고 한다.

이에 대해 A씨는 “네이처리퍼블릭이 정상적으로 3개 점포의 월 임대료 6000만원을 지불해야 하지만, 소상공인에게 임대료를 할인해주는 조건의 서울교통공사 지원금 3000만원을 받고도 차액인 3000만원 중 고작 900만원 남짓으로 충당한다”며 “대부분을 소상공인에게 전가했다”고 지적했다.

당시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고(故)박원순 서울시장의 착한 임대료 정책이 시행 중이었다. 이에 네이처리퍼블릭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임대한 해당 매장들은 서울시 재정을 기반한 임대료 50% 할인 정책이 적용됐다.

착한 임대료 정책은 연매출 50억원 이하의 소상공인에게 임대료를 50% 할인해주는 정책이지만, 당시 서울교통공사 측에선 역사에 입점한 점주들에게 자의적으로 할인해주라는 취지로 네이처리퍼블릭 측에 총 임대료 50%를 할인해줬다고 한다.

즉, 서울교통공사가 네이처리퍼블릭에 임대료 50%를 할인해준 뒤 사측이 점주들에게 임대료 추가 할인을 해주는 식이다.

A씨는 “네이처리퍼블릭이 서울교통공사의 임대료 지원금을 바탕으로 소상공인들을 유인해 입점을 유도했고, 약 3개월 후에 갑자기 50%할인을 전면 취소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A씨가 운영했던 점포 임대료


“15개 지점, 임대료 혜택 못받아…공사 측 임대료 ‘지급확인서’ 요구에 점주 이용”

이 같은 문제는 A씨의 매장뿐만 아니다. 네이처리퍼블릭으로부터 임대료 혜택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한 매장이 15개에 달한다고 A씨는 주장했다.

통상적으로 지하철 내 매장은 대부분 중간관리 형태의 계약을 맺고 있다. 중간관리자는 가맹점과 달리 본사로부터 물건을 매입하지 않고 매출의 일정 부분을 수수료 명목으로 챙긴다.

하지만 A씨가 운영하는 매장과 임대료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한 15개 매장은 A씨 등 중간 관리자가 임대료를 지불하는 것으로 변경된 계약을 맺고 있다고 한다.

해당 사실을 알게 된 점주들은 서울교통공사 측에 항의했고, 네이처리퍼블릭이 점주들에게 임대료를 지급했다는 ‘지급확인서’를 만들어 공사 측에 제출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정식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별도의 문서로 대체하거나, 부당 인상한 임대료의 일부를 보상해줄 것을 약속하고 지급확인서를 받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A씨는 “지급확인서를 징수하기 위해 점주들에게 부당 인상한 임대료의 일부를 줄 것을 약속하고 일단 지급확인서를 받아 제출한 후에 다시 약속을 파기하고 인상한 임대료의 반환을 거부했다”며 “점주들은 이 같은 부당한 일을 당해도 이의를 제기하면 또다시 불이익을 받을 것 같아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이를 거부한 일부 소상공인들의 지급확인서는 괴상한 문서로 대체했다”며 “갑질의 끝을 보여주는 파렴치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본지>는 네이처리퍼블릭의 입장이나 해명을 듣고자 통화를 했지만 별다른 답변을 받지 못했다.
 


저가 마케팅 정책에 폐점 증가…가맹점, 3년새 3분의 1 ‘급감’

네이처리퍼블릭의 논란은 이 뿐만 아니다. 올 초 가맹점주들은 사측의 저가 마케팅 정책 등으로 일방적인 피해를 보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로 인해 가맹점이 폐점으로 이어졌지만, 일부 가맹점주들 사이에선 계약 당시 사측에 건낸 보증금도 돌려받지 못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 1월 19일자 <이데일리>의 보도에 따르면, 서울에서 네이처리퍼블릭 가맹점을 운영하는 B씨는 본사의 저가 마케팅 때문에 폐점을 고려하고 있다. 저가 제품 위주로 판매하다 보니 매장의 수익이 감소했고, 매달 임대료를 지불하는 것조차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당시 가맹점주들은 본사가 가맹점 관리에 소홀하다며 수익 개선을 위해 저가 정책을 펼치면서 가맹점이 일방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B씨는 “코로나19가 터진 2년 동안 색조 제품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손님이 와도 팔지 못한다”며 “다른 제품도 제때 공급이 되지 않아서 한 번 들어올 때 사재기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회사가 저가 정책을 쓰면서 마진까지 축소시켰는데 이는 계약서와 명백히 다른 부분”이라며 “일부 점주들이 모여서 회사에 항의를 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바뀌는 게 없다”고 토로했다.

B씨 등 네이처리퍼블릭의 가맹점주들은 ▲저마진 정책으로 인한 순손실 ▲색조 등 주요제품 재고 부족으로 인한 잠재손실 ▲무차별적 할인 등을 개선해달라고 본사에 요청했다.

하지만 사측이 가맹점과 소통을 하지 않으면서 점주들은 단체 법적 소송까지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로 인해 가맹점을 폐점하게 됐다고 주장하는 점주 C씨는 “점포 두 곳을 폐점한 후에 보증금을 돌려줘야 하는데 네이처리퍼블릭은 가매출(임의카드)을 상계해야 한다는 명목으로 증빙없이 비용을 부담시켜 수 천만원의 돈을 돌려주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가맹사업법 위반 혐의로 경기도 가맹사업거래분쟁조정협의회에 조정을 신청하고 영업직원 등을 형사고발했지만 사측은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실제로 네이처리퍼블릭의 가맹점은 해를 거듭할수록 점차 감소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에 따르면, 네이처리퍼블릭의 매장수(가맹, 직영점)는 지난 2018년 629개에서 2020년 439개로 급감했다. 반면 가맹점 계약해지는 2018년 8건에 불과했지만, 2020년 36건으로 급증했다.

실적 또한 중국 사드 영향과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면서 2016년부터 6년 연속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 이른바 ‘정운호 게이트’라는 오너리스크에 발목을 잡힌 것 역시 적자 전환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당시 정 대표는 상습도박과 뇌물공여 혐의로 징역 4년 4개월을 선고받았다.

정 대표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뒤에도 김창호 전 대표, 2016년 12월 호종환 전 대표, 2019년 1월 곽석간 대표 등이 잇따라 수장을 맡아 회사를 이끌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지난 2015년 2848억원을 기록했던 매출은 지난해 1255억원까지 급감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3월 경영 일선에 복귀한 정 대표는 해외 법인 정리와 체질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면서도 “가맹점주들과 사측의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과거 오너리스크 그림자에서 벗어날 수 있을 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최태우 기자 therapy4869@thepublic.kr

더퍼블릭 / 최태우 therapy4869@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