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못한 ‘청년취업’, 만성적 비취업자↑...공공일자리만 회복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못한 ‘청년취업’, 만성적 비취업자↑...공공일자리만 회복

  • 기자명 신한나
  • 입력 2022.02.14 15:2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최근 고용 흐름은 청년층의 고용회복이 지체되고, 공공·준공공 부문에 집중된 고용회보기 이뤄지며 지역별 고용회복세의 차별화 등의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청년층 취업자 수는 지난 2021년 4분기에 392만 2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 398만 2000명의 98.5%에 그쳤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는 454만 2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보다 19만 2000명 감소했다.

다만 활동상태별로는 ▲육아·가사 ▲교육기관·학원 통학은 줄었지만 만성적 비취업자로 볼 수 있는 ▲쉬었음 ▲취업 준비 등은 오히려 코로나19 이전보다 각각 5만 4000명, 4만 3000명 증가했다.

다시 말해 청년층의 취업자 수가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가운데 만성적 비취업자 수는 나날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도·소매업이나 숙박·음식업 등 민간부문에서는 코로나19 이후 고용이 크게 감소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면서 경기가 완만히 회복되는 최근 공공행정 및 보건·복지업 등 공공·준공공 부문에서 고용이 대폭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의 위기로 발생된 실업자의 상당수가 정부 정책의 수혜를 입은 공공·준공공 부문으로 흡수됨을 반영하는 수치로 분석된다.

지역별 고용회복세를 살펴보면 ▲경기 ▲세종 ▲전북 등의 2021년 고용증가율은 전국 평균인 1.4%를 상회했고 취업자 수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반면 ▲울산 ▲경북 ▲광주 등의 2021년 고용수준은 큰 변함이 없었으며 취업자 수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했다.

임영태 고용정책팀장은 “완전한 고용회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만성적 비취업 청년에 대한 취업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산업구조 전환을 반영한 노동개혁을 추진해야 하며 지역별 맞춤형 고용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빅데이터 기반의 취업 정보 플랫폼 구축, 청년 전담 고용지원센터 및 전담 서비스 확충으로 비취업 청년에게 취업 지원 서비스의 접근성과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진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hannaunce@thepublic.kr 

더퍼블릭 / 신한나 hannaunce@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