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이후 제조업 고용부진 지속적 하락세...비수도권이 더 심각

2016년 이후 제조업 고용부진 지속적 하락세...비수도권이 더 심각

  • 기자명 임준
  • 입력 2022.02.10 23:06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 = 임준 기자] 제조업 일자리 창출률이 지난 2016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면서 고용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10일 ‘지역 일자리 현황 및 향후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일자리 순증가율(창출률과 소멸률의 차이)가 하락으로 일자리 창출의 역동성이 위축되고 있다”고 밝혔다.

제조업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고용시장 악화가 장기화되는 추세다.

보고서는 “수도권은 일자리 창출 하락폭이 최근 확대되며 순증가율이 2019년 마이너스로 전환됐다”며 “비수도권의 경우 2016~2018년 3년 연속으로 마이너스 순증가율(0.4%, 0.6%, 0.1%)을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수도권의 제조업 고용시장 악화가 수도권과 비교해 더 심각하다”면서 “수도권은 비수도권과 비교해 일자리 창출률과 소멸률이 높은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수도권에서 사업체 진입, 퇴출, 성장, 축소 등에 따른 일자리 창출의 역동성이 더 높았다”고 지적했다.

김민정 충남대 교수는 “일반적으로 신생기업은 일자리 확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비수도권의 경우 창업 인프라가 수도권과 비교해 열악하기 때문에 창업이 저조하고, 일자리 창출률 또한 수도권에 비해 낮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2010~2019년까지 서비스업의 일자리 평균 순증가율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 각각 2.9%, 3.0%로 분석됐다.

이는 제조업의 수도권(1.9%), 비수도권(2.0%)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일자리 재배치율(일자리 창출률과 소멸률의 합)은 수도권의 경우 평균 45.6%, 비수도권은 평균 42.1%를 각각 나타냈다.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서비스업 일자리 역동성 또한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서비스업의 일자리 창출률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2016년 이후 둔화됐다. 

제조업 일자리 창출률이 둔화된 기간과 일치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 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시장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GI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시장 개선 및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제언했다. SGI는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확대 및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 강화, 고부가 서비스산업 규제완화 및 창업 지원 인프라 확대, 초광역권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 지원 등을 제시했다.

SGI는 우선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확대와 고기술 기업의 국내 유턴 유인책 강화를 주문했다.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지식기반 서비스 등 고부가 서비스산업에서의 과감한 규제완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창업지원 인프라를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강조했다.

끝으로 중앙정부 및 지자체 간 연계·협력사업 추진을 위해 ‘초광역권’ 개념을 신설하고, ‘초광역권 발전계획’을 수립해 관련 협력사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 확대를 통한 권역별 성장 거점 구축 및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 / 임준 기자 uldaga@thepublic.kr 

더퍼블릭 / 임준 uldaga@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