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16일,국민의힘 원희룡 중앙선대위 정책총괄본부장이 국회 소통관에서 대장동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이미지-연합뉴스) |
[더퍼블릭 = 최얼 기자] 검찰의 대장동 수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2주 사이에 대장동 핵심 관계자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검찰의 강압수사 논란이 도마위에 오르내리고 있는데, 원희룡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총괄정책본부장은 오히려 “제3의 죽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유한기, 김문기 휴대폰 포렌식 등 철저한 수사가 당연히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원 총괄정책본부장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유한기에 이어 김문기까지 극단적 선택을 했다. 최후 선택 직전 누군가와 통화 내지 SNS하면서 심적 압박감을 가진 것이 이유일 수 있다.”고 운을뗏다.
이어 “연쇄적인 죽음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는 것으로 의문시된다”며 “유동규, 유한기, 김문기 모두 대장동 공모지침서 변경으로 화천대유에 개발이익 몰아주기에 관여된 사람들인데, 이들을 비롯한 대장동 관련자들이 윗선을 보호하기 위해 죽음을 서약한 바 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고 했다.
그러면서 “심지어 미국에 가 있던 남욱이 서둘러 귀국해서 구속된 것도 죽음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그냥 무시하기엔 마음에 걸린다”고 우려했다.
다수 언론에 보도된 바에 의하면, 김문기 개발사업1처장은 지난 21일 오후 8시 20분쯤 자신의 사무실에서 쓰러져 숨진 채 발견됐다.
김 처장은 대장동 특혜 의혹의 핵심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인물이며, 대장동 사업협약서에서 ‘초과이익 환수’ 조항을 삭제한 의혹을 받고 있던 상태다.
이에 검찰의 강압수사에 대한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내릴 우려가 있다.
금품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던 유한기 전 공사 개발본부장이 지난 10일 극단적 선택을 한 지 2주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대장동 사건 관계자가 또 사망했기 때문이다.
이 대목에서, 원 본부장은 검찰의 강압수사 논란에 자칫 대장동 사건 자체가 묻힐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더 이상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는 것.
이에 원 총괄정책본부장은 “검찰은 유한기와 김문기의 휴대폰에 대한 포렌식을 할 것을 요구한다”며 “정식 수사를 위해 필요하다면 성명 불상자(이재명 측 인사)를 피고발인으로 하여 자살 교사 또는 자살 방조죄 고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제3의 죽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유한기, 김문기 휴대폰 포렌식 등 철저한 수사가 당연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
[저작권자ⓒ 더퍼블릭.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