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고용회복 지체..."만성적 비취업자 코로나19 이전보다 늘어"

청년층 고용회복 지체..."만성적 비취업자 코로나19 이전보다 늘어"

  • 기자명 박소연
  • 입력 2022.02.17 10:0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 = 박소연 기자] 코로나19 이전 청년층 취업자 수준이 회복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성적 비취업자는 코로나19 이전보다 오히려 증가했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 벼랑 끝에 선 청년에게 희망을'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청년 고용이 부진한 원인은 경직적인 노동시장 구조와 인력 미스매치(불일치), 우리 경제의 고용 창출력 저하라고 분석했다.

먼저 경직적인 노동시장 구조와 연공형 임금 체계가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고용 규제와 강성 노조의 과도한 요구로 대기업과 정규직이 높은 임금과 고용 안정을 누리면서 청년층이 노동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

청년층 취업자 수는 2021년 4분기 392.2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 398.2만명의 98.5%에 그쳤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는 2021년 4분기 454.2만 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473.4만명)보다 19.2만명 감소했다.

다만 활동상태별로는 ‘육아·가사’, ‘교육기관·학원 통학’은 줄었지만, ‘쉬었음’, ‘취업준비’는 오히려 코로나19 이전보다 각각 5.4만명, 4.3만명 증가했다

경총 임영태 고용정책팀장은 “2021년 4분기 고용 흐름은 청년층 만성적 비취업자가 코로나19 이전보다 늘어나며 청년층 고용회복이 지체되는 가운데, 최근 경기순환기 상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실업자 중 상당수가 공공행정 및 보건·복지업 같은 공공·준공공 부문에 흡수되어 향후 고용회복 속도가 더뎌질 전망이며 고용회복세도 지역에 따라 차별화되며 지역별 고용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완전한 고용회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만성적 비취업 청년에 대한 취업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산업구조 전환을 반영한 노동개혁을 추진해야 하며 지역별 맞춤형 고용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진제공 = 한국경영자총협회]

 

더퍼블릭 / 박소연 기자 syeon0213@thepublic.kr 

더퍼블릭 / 박소연 syeon0213@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