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털 ‘콕’ 박힌 남양유업…올해도 어김없이 ‘악재’꼬여 구설수

미운털 ‘콕’ 박힌 남양유업…올해도 어김없이 ‘악재’꼬여 구설수

  • 기자명 김다정
  • 입력 2020.04.28 11:0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장님은 ‘연봉잔치’, 직원들은 ‘긴축경영’…‘변질 논란’ 깊어지는 소비자 불신

지난 2013년 대리점주에 대한 ‘갑질 사태’ 이후 남양유업은 항상 ‘불매운동’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다. 

그 때의 사건 이후 7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매해 거듭해서 터지는 크고 작은 악재들로 훼손된 회사의 이미지는 회복되지 못한 채 그대로 쌓여가는 모양새다.
 

지난해 남양유업은 과거 대리점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인하한 혐의가 드러나 뭇매를 맞는가 하면 물량 밀어내기와 장부조작 의혹으로 국정감사에 불려가는 등 오히려 ‘갑질 기업’이라는 낙인은 더욱 짙어졌다.
 

과거 갑질 논란이 계속해서 회사의 발목을 붙잡자 남양유업은 마케팅에 회사이름을 이용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남양유업이 운영하는 아이스크림 전문점 '백미당'은 남양을 언급하지 않는다. 매일유업의 폴바셋이 '매일우유가 만드는 우유를 쓴다'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에는 자회사인 남양에프앤비(F&B)의 사명을 ‘건강한 사람들’로 바꿨다. 자체브랜드로 소비자들에게 평가받기 위한 독자적인 브랜드마케팅 전략이라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남양 브랜드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사명을 바꾸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런 노력이 무색하게 남양유업은 올해도 어김없이 여러 구설수에 휘말리고 있다.  

[더퍼블릭 = 김다정 기자] 올해로 ‘취임 2년차’를 맞은 남양유업 이광범 대표이사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비상경영체제 전환을 선언했다. 

동시에 신시장 개척과 미래 성장 먹거리 창출을 통해 지금의 난관을 돌파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근 몇 년간 남양유업은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지난 2013년 대리점에 물량 밀어내기를 했다는 ‘갑질 논란’ 이후 불매운동을 겪으면서 지금까지 실적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남양유업의 매출액은 갑질 논란이 터지기 바로 직전 해인 2012년 1조3650억원으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같은 해 영업이익은 637억원이었다.
 

그러나 7년 새 매출은 24% 줄었고 영업이익은 99.4% 감소했다. ‘유업계 1위’ 타이틀도 매일유업에 내준 지 오래다.
 

남양유업은 지난해 매출 1조308억원, 영업이익 4억1735만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5%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영업이익은 무려 95.3%가 줄었다. 지난해 판관비를 130억원 이상 감축했음을 고려하면 사실상 ‘적자’나 다름없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올해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 계속된 내수부진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악재까지 겹친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개학이 연기됐고 급식우유 공급이 중단되면서 우유업계가 전반적으로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남양유업은 학교 우유 급식 물량의 30% 가량을 책임지고 있다. 급식우유로 매월 약 150억원 매출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개학 연기로 우유 재고가 생기자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멸균우유와 탈지분유 등으로 재가공하는 방안을 실행·검토하고 있지만 손실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주주총회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내외적으로 매우 힘겨운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직원들 허리띠 졸라매는 ‘비상경영’

상황이 이렇다보니 남양유업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매출 하락, 영업이익 감소 등 경영위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긴축경영에 돌입한다.
 

최근 남양유업은 임원 등을 포함한 팀장급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긴축경영 시행 공고문’을 공지했다.
 

남양유업은 공고문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외 경기 침체 및 자사의 매출 하락, 영업이익 감소(적자발생) 등 심각한 경영 위기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현 상황의 장기화 시 추가적인 위기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사전대비를 위해 긴축경영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올해 12월까지 총 9개월 동안 팀장급 이상 직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상여금 30% 삭감 및 하계 휴가비 50% 반납과 관련해 동의를 받고 있다.
 

또 직원 경비의 지급 기준 및 범위도 축소한다. 영업부서의 업무추진식대를 기존 직책별 지급에서 1인당 5만원으로 한정하고 업무회의식대와 차량유지비 예산을 없앴다. 공장 직원들의 복리후생비도 20% 삭감하고 통신비도 줄였다.
 

대상자들에겐 긴축경영 시행관련 공지문과 ‘급여 반납동의서’를 전달했다. 

동의서에서 ‘회사 경영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본인의 자유의사’를 강조하면서도 ‘..(중략)반납하는 것에 대해 어떠한 민형사상의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쓰여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이번 조치를 강제적으로 시행하지 않기 위해 동의서를 받는 것”이라며 “동의하지 않은 일부에 대해서는 삭감없이 지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잉여금 쌓아놓고 직원들 사기 꺾어?

코로나19 여파로 국내는 물론 세계 경제까지 대혼란에 빠지면서 전산업이 직격탄을 받는 상황에서 남양유업의 비상경영체제 돌입은 불가피한 선택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이번 조치로 남양유업이 논란에 중심에 선 까닭은 상대적으로 직원들에게만 많은 고통을 부담하게 한다는 데 있다.  

특히 남양유업은 9000억원이 넘는 사내 잉여금을 보유하는 등 재무건전성이 나쁘지 않은 편이다.
 

최근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양유업의 이익잉여금은 9293억원에 달한다. 이는 기업 총 자산의 88%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부동산 매각 이익 등 매각예정비유동자산 처분이익으로 기타 영업외 수익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부채는 1441억원에 불과하다. 부채비율은 전년 18.4%에 비해 낮아진 15.8%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부채비율은 150%까지 양호하다고 판단한다.
 

앞서 남양유업은 이미 올해 초 긴축경영을 시행하기 전에 권고사직과 직급 세분화 등 조직 구조조정을 진행한 바 있다.
 

권고사직 대상자에 대해 일정기간 기본급을 받고 퇴사하거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지방 지점으로 발령을 냈다. 특히 이번 권고사직 대상에는 10여년 차 직원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직원들의 사기는 바닥을 친 상태였다.
 

회사가 9000억원을 웃도는 잉여금을 쌓아두고 있으면서 회사 경영 위기를 이유로 직원들의 희생만을 강요하며 허리띠를 졸라매는 것처럼 비춰지는 모양새다.  


‘고액 연봉잔치’ 벌이는 홍원식 회장…책임경영 어디로?

더욱이 이번 남양유업의 조치에서 기업의 수장으로서 오너일가와 경영진의 책임의식은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홍원식 회장과 임원급도 이번 조치에 참여한다”며 “임원급은 상여금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같은 비율로 환산해 연봉 등을 일부 삭감하는 방법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동안 홍원식 회장을 비롯한 오너일가는 수십억원대의 ‘연봉 잔치’를 벌려왔고, 회사의 부진에 더 큰 책임이 있는 만큼 더 많은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는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실제로 홍 회장이 지난해 수령한 연봉은 남양유업의 연간 영업이익의 4배에 달하는 16억1991만원이다. 이는 전년(16억1931만원)보다 오히려 60만원 오른 금액이다.
 

2013년 13억원 가량이었던 홍 회장의 보수는 해마다 인상됐다. 이광범 대표를 비롯한 나머지 6명의 등기이사가 받은 연봉은 총 9억원에 불과하다.
 

지난해 12월 홍 회장은 전 직원에게 보낸 서신을 통해 “오너로서 스스로 변화를 다짐하며, 임직원들에게도 남양인으로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질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현 시점의 남양유업에는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오히려 직원들로 하여금 자긍심과 긍지를 박탈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의 드는 상황이다.
 

이미 국내 대기업 임원들은 코로나19로 불황을 겪으면서 줄줄이 임금 반납 대열에 잇따라 동참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기아차그룹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등이 임금 반납을 선언한 총수들이다. 특히 삼성그룹 총수 역할을 수행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7년부터 아예 임금을 받지 않고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건강한 사람들’…첫 발 떼자마자 논란

이처럼 남양유업이 긴축 경영을 두고 내부적으로 혼란을 겪는 가운데 외부에서도 논란이 터지면서 소비자들도 등을 돌리고 나섰다.
 

어려운 상황에 처한 회사가 비상경영이라는 최후의 카드까지 꺼내들었지만 도무지 이 상황을 반전시킬 만한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 모양새다.
 

남양유업이 판매하는 오렌지쥬스 ‘오렌지 채움’ 일부 제품에서 불량이 발생했다.
 

오렌지 채움 제조사인 ‘건강한 사람들’은 남양유업이 지분 100%를 가지고 있는 자회사다. 지난해 11월 남양F&B에서 사명을 변경했다.
 

당시 사명을 변경한 것을 두고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갑질 논란과 불매운동 브랜드 이미지를 상쇄하기 위한 남양유업의 꼼수라는 비난 여론이 일기도 했다.
 

남양유업은 이미지 변신이 아닌 신규 사업에 변화와 성장 기회를 찾기 위한 마케팅의 일환이라고 밝혔지만 소비자들의 불신은 계속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남양유업은 남양F&B의 사명까지 변경하면서 반전의 기회를 꾀했다. 

그러나 최근 건강한 사람들이 제조하는 오렌지쥬스 ‘오렌지 채움’ 일부 제품에서 역한 냄새가 나고 용기가 팽창하는 등 불량 증상이 나타나면서 남양유업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위기에 처했다.
 

특히 이번 논란은 단순히 불량 제품이 발생한 것을 넘어 회사가 문제가 된 제품을 몰래 회수한 후 폐기하려 했다는 ‘은폐 의혹’까지 함께 불거졌다.
 

<톱데일리>는 ‘남양유업 불량제품 몰래 회수 후 폐기 지침’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지난 11일자로 단독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소비자 A씨는 지난 9일 CU편의점에서 오렌지 채움 쥬스를 사서 마신 후 복통에 시달렸다.
 

해당 제품의 유통기한은 오는 17일까지였지만 음료를 마실 때 화학약품 같은 역한 냄새가 났다고 증언했다. 또 자신이 구매한 또 다른 오렌지 채움 제품에서도 비슷한 악취가 났다고 주장했다.
 

이에 남양유업은 제품은 판매 시작 열흘만에 판매를 중단되고 전부 회수조치됐다. 

그러나 톱데일리는 회사가 이런 결정을 내리기 전에 클레임이 접수되자 직원들을 동원해 문제가 의심되는 제품을 대거 구매 한 뒤, 몰래 폐기 지시한 의혹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한 편의점 판매처에서 제품의 팽창 여부 등을 확인한 뒤, 진열품을 전량구매해 테스트 후 자체 폐기하라는 지침이 담긴 내부 유통조사 지침서를 공개했다.
 

해당 유통조사 지침에는 개인카드나 현금으로 해당 제품을 구입한 뒤 영수증을 지참하라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 이에 따라 직원들은 지난 9일부터 10일까지 판매처를 돌며 채움 제품을 구매했다.
 

이와 관련 남양유업 관계자는 “소비자 A씨의 클레임은 남양유업 측에 접수된 적이 없고 이와 별개로 점포 측으로부터 제품이 팽창됐다는 클레임이 있어 모니터링을 위해 문제된 제품을 구매했다”며 “해당 기사에서 언급한 은폐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이어 “문제가 된 제품을 조사한 결과 법적 규격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내부기준에는 미치지 못해 해당 관청(홍성 군청)에 신고 했고, 공식적인 절차를 거쳐 판매중지 조치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특히 “A씨의 사례는 회사의 정식적으로 접수된 적이 없다”며 “보상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해당 언론사에 A씨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상태지만 아직까지 답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남양유업은 이번 사건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지만 회사의 유통조사 과정은 다소 이례적이다.
 

통상 식품업계에선 제품에 대한 클레임이 제기됐을 경우, 문제의 제품을 수거한 뒤 제조공장에 보관된 동일 날짜 생산 제품을 비교하며 조사를 실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그러나 남양유업처럼 직원들을 동원해 수백 개에 달하는 제품을 수거하는 경우는 다소 일반적이지 않다는 평가다.

최초 클레임 이후 3일 만에 ‘피해자’ 발생…소극적 대처 도마

그럼에도 남양유업은 해당 제품은 법적 규격에 문제가 없었고 회수절차도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문제없이 진행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안에 대한 취재과정에서 소비자 A씨의 클레임과 남양유업이 조사를 시작한 클레임은 별개의 사건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한 은폐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함이다. 특히 소비자 A씨의 클레임건은 회사에 접수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남양유업이 조사에 착수한 클레음은 지난 6일 편의점주로부터 제기된 제품 용기 팽창건이라는 설명이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소비자 A씨와 관련 피해보상을 논의하기 위해 해당 사건을 보도한 매체에 협조를 요청한 상태지만 아직까지 소비자 A씨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두 개의 건이 별개라는 남양유업의 주장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회사의 뒤늦은 회수조치로 인해 새로운 피해자가 생겼다는 점에서는 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개된 사진 속 문제가 된 제품은 육안으로 보더라도 다른 제품에 비해 용기가 부풀어 올라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였다. 

특히 해당 제품은 비가열 쥬스로, 오렌지를 착즙한 뒤 가열살균하지 않고 냉장 판매하는 제품이다. 제조공정이 오염됐을 경우 유통기한 내에 유해세균 등이 잔존할 가능성이 살균 제품에 비해 더 크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 즉시 판매중단 권고를 내리지 않아 결국 최초 클레임이 접수된 지 3일 만인 지난 9일 소비자 A씨와 같은 피해사례가 나왔다는 점에서는 ‘대처가 소극적이었다’는 비난의 여지가 있다. 

만약 소비자 A씨가 아니더라도 제 2·3의 또 다른, 새로운 피해자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던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이 판매중지가 되면 회수·폐기 등과 관련된 모든 리스크는 업체가 떠맡게 된다. 공식적인 회수 절차에 들어가면 문제 제품은 발주 중단 될 가능성이 있다. 문제 제품 유통에 따른 행정처분도 가능하다.
 

때문에 이번 남양유업의 늑장대처는 회사가 부담해야 하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꼼수가 아니었나하는 의심이 드는 대목이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업체 입장에서 해당 제품이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됐는지 원인 규명은 필요하다”며 “같은 클레임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졌다면 즉각적으로 판매중지 조치를 내렸겠지만 이번 건은 그렇지 않았고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건과 관련 해당 관청에서 직접 조사를 진행했지만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와 마무리됐다”고 강조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 / 김다정 기자 92ddang@thepublic.kr 

더퍼블릭 / 김다정 92ddang@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