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부품업계, 미래차로 사업 전환...맞춤형 지원 필요

車부품업계, 미래차로 사업 전환...맞춤형 지원 필요

  • 기자명 임준
  • 입력 2021.05.17 18:3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 = 임준 기자]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미래자동차로 사업을 재편하고 있다. 하지만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정부가 여건과 제도 등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17일 보고서를 내고 지난해 자동차 부품 기업의 사업 재편 승인 건수는 총 22건으로 2016∼2019년 2건에 비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일부 규모가 있는 부품기업들이 중심이 되어서 활발한 움직임을 벌이고 있다. 

부품기업들은 사업재편 승인을 받을 시 자금, 세제, 연구개발(R&D) 지원 등 인센티브를 활용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과 올해 2월 발표한 제4차 친환경차 기본계획을 통해 2025년까지 500개, 2030년까지 1000개 부품 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부품기업들의 미래차 사업재편은 핵심기술을 고도화해 유사 미래차 분야로 진출하기에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산소·배기온도 센서를 생산하는 우진공업은 수소압력센서를, 엔진피스톤을 생산하는 동양피스톤은 연료전지 하우징 및 스택 부품을, 엔진계 냉각부품을 생산하는 인지컨트롤스는 수소차 열 제어 통합 모듈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시트프레임을 생산하는 디에스씨는 전기차 배터리용 버스바와 무선 전력전송 모듈로, 베바스토홀딩스는 선루프에서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으로 주력 생산 품목을 전환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규모 자금을 투자해 주력 생산품목을 전환하는 방식이라 부담이 크다.

이밖에도 유라테크와 삼보모터스의 경우에는 대형 부품사를 중심으로 관련 협력사와 연계해 공동으로 사업 재편을 추진하는 방법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원은 이같은 활발한 부품업계의 사업재편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품업계가 코로나19 영향과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철강 가격 폭등 등으로 인해 여전히 미래차 대응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단순한 지원이 아니라 각종 금융·기술·컨설팅 사업을 활용해 자발적으로 중장기 미래차 대응 전략 수립에 나가면서 기본적인 베이스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업계 전문가들은 업체 규모와 도급 단계, 생산 부문의 특성에 맞게 부품사들이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세엽 한국자동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부품기업 간 수직적 구조를 활용해 1차 부품기업과 2~3차 중소, 중견 부품기업이 동반자적 관계로 공동으로 미래차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 마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료제공 한국자동차연구원]

더퍼블릭 / 임준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 

더퍼블릭 / 임준 thepublic315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