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기술개발이 살 길…철강업계. EU CBAM 대비에 ’사활‘

저탄소 기술개발이 살 길…철강업계. EU CBAM 대비에 ’사활‘

  • 기자명 홍찬영
  • 입력 2023.05.03 11:42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홍찬영 기자]최근 유럽연합(EU)이 철강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하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고민이 커졌다. 철강 산업은 탄소 배출을 가장 많이 하는 업종인 만큼, 이같은 글로벌 탄소규제는 수출 경쟁력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현대제철과 포스코는 탄소감축 규제에 대응하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는 중이다.

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독자적 저탄소제품 전기로 생산기술인 '하이큐브' 체제를 갖추기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탄소중립에 다가가겠다는 것이다.

앞서 현대제철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50년 넷제로(Net-Zero) 달성을 위한 탄소중립 로드맵을 공개했다. 2030년까지 직·간접 배출량을 12% 감축하는 게 목표다.

하이큐브는 신전기로에 철스크랩과 고로의 탄소중립 용선, 수소환원 직접환원철 등을 혼합 사용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최고급 판재를 생산하는 핵심 기술이다.

1단계로 기존 전기로를 활용해 저탄소화 된 쇳물을 고로 전로공정에 혼합 투입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2단계에서는 현대제철의 고유의 신 전기로를 신설해 2030년까지 탄소배출이 약 40% 저감된 강재를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신 전기로에는 하이큐브 기술을 적용키로. 하이큐브는 신 전기로에 철스크랩과 고로의 탄소중립 용선, 수소환원 직접환원철 등을 혼합 사용해 탄소배출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최고급 판재를 생산하는 핵심 기술이다.

이렇게 생산된 저탄소 제품은 새로운 탄소중립 브랜드 하이에코스하이에코스틸(HyECOsteel)’로 이름 붙여져 글로벌 주요 고객들에게 제공된다.

안동일 현대제철 사장은 “글로벌 선진국들은 기후변화와 연계해 자국 산업보호 및 경쟁력 선점에 주력하고 있다”며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신성장 동력 확보와 지속가능한 친환경 철강사로 나아가기 위해 현대제철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포스코 역시 ‘하이렉스’ 기반 수소환원제철 상용 기술을 개발하는 등 탄소감축 추세에 발맞춰 가고 있다.

앞서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 7월에 영국 프라이메탈스와 수소환원제철 엔지니어링 기술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 수소환원제철 모델인 하이렉스, 시험설비 설계 착수에 돌입한 상태로, 2026년 가동에 나서 2030년 상용 기술개발을 완료하기로 했다.

나아가 2050년까지 포항·광양 제철소의 기존 고로 설비를 단계적으로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하고,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을 목표로 세웠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수소환원제철 국제포럼(HyIS)에서 "철강업계의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수소환원제철이란 것을 모두 알고 있지만, 그 자체가 매우 도전적인 목표"라며 "여러분들이 뜻을 모아 그 길을 함께 떠난다면 탄소중립 시대는 앞당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철강업계가 저탄소 기술에 힘을 쏟는 데는 나날이 글로벌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유럽연합(EU)을 철강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확정했다. 이로써 앞으로 EU에 철강·알루미늄·비료·전기·시멘트·수소제품 등 6개 품목을 수출하는 국내 기업은 오는 10월부터 탄소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철강업계는 CBMA로 인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철강 산업은 탄소 배출을 가장 많이 하는 업종인 만큼 글로벌 탄소규제는 수출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기업들은 물론 산업통상자원부도 철강 산업 경쟁력 악화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기로 했다. 우선 EU 측과 협의를 지속할 것이란 계획이다.

산업부 측은 "EU의 이행법안 제정 과정에서 산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우리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려 EU 측과 협의할 예정"이라며 "탄소중립 이행을 기회 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철강 등 주력 산업의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 

더퍼블릭 / 홍찬영 chanyeong841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