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환원기술 갈 길 먼데…철강업계, ‘탄소국경세’ 시행 앞두고 골머리

수소환원기술 갈 길 먼데…철강업계, ‘탄소국경세’ 시행 앞두고 골머리

  • 기자명 홍찬영
  • 입력 2023.02.15 10:3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홍찬영 기자]오는 10월 시범 도입되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이하 탄소국경세)를 앞두고 철강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철강업계는 CBAM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배출을 원천 차단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준비하고 있지만, 이 기술이 상용화되기에는 아직 갈길이 먼 상황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EU은 올해 10월부터 철강 등 6개 분야를 대상으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범 시행하고, 2026년부터 이를 본격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CBAM의 핵심은 탄소 관련 규제가 강한 국가가 약한 국가의 제품을 수입할 때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에 따라 무역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다.

우선 도입되는 6개 품목은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수소다. 시범 기간에는 플라스틱과 유기화학품의 추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 기간 수입자는 매 분기 상품의 수입 수량, 내재된 톤당 직접 탄소배출량, 간접 탄소배출량, 원산지에서 기지불한 탄소비용 등의 내용을 포함한 보고서를 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이에 국내 철강사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철강 산업은 탄소 배출을 가장 많이 하는 업종인 만큼 글로벌 탄소규제는 수출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현재 포스코, 현대제철은 미래기술로 꼽히는 수소환원제철을 준비하고 하는 등 탄소규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수소환원제철은 쇳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해 탄소 배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신기술이다.

우선 포스코는 2028년까지 하이렉스 기술로 연간 100만톤 규모의 철강 생산이 가능한 데모플랜트를 짓고 이후 2030년 상용화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궁극적으로 2050년까지 하이렉스 설비의 상용화를 완료해 탄소중립을 실현할 것이란 방침이다.

현대제철도 하이큐브 기술을 통해 스크랩, 수소환원제철과 탄소중립형 용선을 적절히 사용하고 원료 고유의 특성을 생산 프로세스에 최적화시켜 전 범위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막대한 투자재원이 필요하고 개발 과정도 어려워 상용화가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상용화 시점 역시 빨라도 2040년 이후라서 CBAM 대응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전망이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수소환원기술 뿐 아니라, 다방면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저탄소 제품 양산화 기술을 개발하고 탄소 배출량이 낮은 신원료 활용을 통해 탄소중립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역시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달성 지원에 힘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로 효율 향상 등에 약 2100억원 규모의 기술개발을 지원할 것이란 방침이다.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로를 활용하면 기존 고로(용광로)보다 탄소배출을 4분의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또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을 출범시키도 했다.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에 힘을 실어준 다는 취지다.

작업반에는 산업부 외 철강협회, 무역협회, 포스코, 현대제철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탄소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탄소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하고 산업역량을 높이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 

더퍼블릭 / 홍찬영 chanyeong841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